
열성경련은 보통 6개월~5세 사이의 유아에게 고열이 갑자기 오를 때 발생할 수 있는 경련 증상입니다. 대부분 생명을 위협하지 않고 자연 회복되지만, 부모 입장에선 매우 당황스럽고 무서울 수 있습니다.
아래는 열성경련이 발생했을 때 해야 할 응급 조치와 대처법입니다.
1. 즉시 아이를 안전한 자세로 눕힌다
바닥이 평평하고 단단한 곳(이불 위, 쇼파 아래 등)에 아이를 눕힙니다.
몸을 옆으로 돌려 구토물이나 침이 기도로 넘어가지 않게 합니다 (기도 보호).
목을 조이는 옷이나 이불, 배게는 치워 주세요.
---
2. 절대 억지로 붙잡거나 입에 물건을 넣지 않는다
경련 중 팔, 다리를 억지로 펴려 하지 마세요 (근육 손상 위험).
입에 수저나 손가락을 넣지 마세요. 치아 손상이나 기도 폐쇄 위험이 있습니다.
---
3. 시간을 체크한다
경련 시간이 5분 이하인지 확인합니다.
5분 이상 지속되면 의료기관으로 즉시 이송해야 합니다.
시간 확인은 매우 중요하므로, 침착하게 측정해 주세요.
---
4. 의식이 돌아올 때까지 곁에서 관찰
경련이 멈춘 후 아이의 얼굴 색, 호흡, 의식 회복 여부를 계속 확인합니다.
회복 후에도 혼란, 졸림, 울음, 멍한 상태가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정상 반응입니다.
아이가 자려고 할 때 억지로 깨우지 마세요. 다만 호흡이 정상인지 확인은 계속 합니다.
---
5. 체온을 측정하고 열을 내린다
(경련이 멈춘 후 시행)
**체온이 38도 이상이면 해열제(타이레놀 등)**를 투여합니다.
미지근한 물수건으로 겨드랑이, 이마, 목 등 닿는 부위를 닦아줍니다.
얼음찜질은 피하고, 과도한 땀 닦기와 통풍 유지에 집중합니다.
---
6. 이후 병원 방문 필수
첫 열성경련이라면 반드시 소아청소년과 진료를 봐야 합니다.
과거 열성경련이 있던 아이라도 경련 지속 시간이 길거나 양상이 달라졌다면 병원 방문이 필요합니다.
---
응급실로 바로 가야 하는 경우
경련이 5분 이상 계속될 때
경련이 멈춘 후에도 의식이 돌아오지 않거나 호흡이 이상할 때
입술이 파랗게 질리거나, 눈이 돌아가는 증상이 있을 때
경련 후 편마비(한쪽 팔다리 안 움직임) 증상이 보일 때
아이가 생후 6개월 미만 혹은 5세 이상인데 첫 경련인 경우
---
참고사항
열성경련은 대부분 1~2분 내로 멈추며 후유증이 없습니다.
단, ‘복합 열성경련’(10분 이상, 반복 경련, 부분 마비 동반)의 경우
소아과 전문의의 정밀 평가와 추후 관찰이 필요합니다.
---
요약 정리
1. 눕히고 기도 확보 (옆으로 돌리기)
2. 붙잡지 말고 입에 아무것도 넣지 말기
3. 경련 시간 체크
4. 회복 후 체온 조절 & 해열제
5. 첫 증상이거나 이상할 경우 즉시 병원